티스토리 뷰
목차
서울시가 2025년 하반기 전기차 보조금 신청을 7월 16일부터 시작합니다. 승용차, 화물차, 어린이 통학차량까지 다양한 지원 항목과 최대 6백만 원 이상의 혜택이 제공되는 만큼, 전기차 구매를 고려하고 있다면 이번 기회를 절대 놓치지 마세요!
보조금 조건과 신청 방법을 지금 확인하고 빠르게 준비하세요.
서울시 하반기 전기차 보조금, 무엇이 달라졌나?
2025년 하반기 전기차 보조금은 총 4,686대를 대상으로 진행되며, 승용차 4,174대, 화물차 500대, 어린이 통학차량 12대가 포함됩니다. 특히 이번 하반기에는 보급 대상 확대와 함께 다양한 조건에 따른 추가 보조금이 신설되어, 보다 폭넓은 지원이 가능해졌습니다.
차종별 보조금 지원 금액은?
차종 | 지원대수 | 최대 보조금(국비+시비) | 비고 |
---|---|---|---|
전기 승용차 | 4,174대 | 최대 630만원 | 다자녀, 청년, 생애 첫 차 등 추가지원 있음 |
전기 화물차 | 500대 | 최대 1,350만원 | 제작사 할인 시 추가 50~150만원 지원 |
어린이 통학차량 | 12대 | 최대 1억 5,000만원 | 서울소재 사업장만 신청 가능 |
신청 대상과 자격 조건은?
서울시에 30일 이상 거주하거나 사업장을 둔 개인, 개인사업자, 법인, 공공기관 등이라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 단, 신청은 2개월 이내 출고 가능한 차량만 가능하며, 차량은 구매계약을 맺은 후 제작·수입사가 서울시에 보조금을 신청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신청 절차는 어떻게 진행되나?
신청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집니다.
- ① 구매자가 차량 구매 계약 체결
- ② 제작·수입사가 서울시에 보조금 신청
- ③ 서울시의 자격 심사 및 대상자 선정
- ④ 차량 출고 후 등록
- ⑤ 제작·수입사가 보조금 지급 요청
- ⑥ 서울시가 보조금 지급
즉, 구매자는 차량 구매 대금에서 보조금을 제외한 나머지만 납부하면 됩니다.
이 밖에 꼭 알아야 할 사항
현재 신청 가능한 전기차는 승용 96종, 화물 69종, 중형 승합 11종, 대형 승합 41종으로 매우 다양합니다. 또한 시내버스·마을버스·택시 보조금은 상시 접수 중이며, 이륜차는 7월 말까지 접수 후 8월부터 별도 공고 예정입니다.
문의는 서울시 친환경차량과(02-2133-1260), 120 다산콜센터, 전기차 통합콜센터(1661-0970)를 통해 가능합니다.
Q&A
Q1. 서울시에 거주하지 않으면 신청할 수 없나요?
신청일 기준으로 서울시에 30일 이상 거주한 경우 또는 사업장이 있는 경우에만 신청 가능합니다.
Q2. 생애 첫 차가 전기차인 경우 추가 혜택이 있나요?
네, 만 19세~34세 청년 중 생애 첫 차로 전기승용차를 구매하는 경우 추가 보조금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Q3. 전기 화물차 보조금도 받을 수 있나요?
가능합니다. 하반기 500대 추가 지원되며, 차량 종류에 따라 최대 1,35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Q4. 차량은 언제까지 출고해야 하나요?
보조금 신청 후 2개월 이내에 차량 출고 및 등록이 가능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Q5. 보조금은 누가 지급받고 어떻게 처리되나요?
보조금은 구매자가 아닌 차량 제작사나 수입사로 직접 지급됩니다. 구매자는 차량 금액에서 보조금을 제외한 나머지만 납부하면 됩니다.
서울시의 하반기 전기차 보조금은 환경 보호는 물론 경제적 부담까지 줄일 수 있는 절호의 기회입니다. 보조금 대상 확대와 다양한 혜택이 주어지는 이번 기회에 친환경 자동차로 바꿔보세요. 신청은 빠를수록 유리하니, 지금 바로 준비하세요!